돼지고기의 지방산 조성을 조절해 굳기와 탄력성 등 지방 식감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분자표지가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농진청은 돼지고기의 유전자 분자표지와 관련된 '돼지고기 내 포화지방산 함량 예측용'으로 특허출원을 마치고, 현재 농가 현장 적용을 위한 기술 이전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서는 돼지고기 품질을 평가할 때 지방의 경우 색과 굳기로 판단합니다. <br /> <br />돼지고기 지방 굳기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,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으면 씹힘성이 있는 식감을 띄게 됩니다. <br /> <br />돼지고기 품질에 중요한 요소인 지방산 조성은 유전력이 높은 형질이지만 그동안 품종을 개량하는 지표로 활용하기 어려웠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산 조성은 도축 후 등심을 분석해야 알 수 있는데, 도축하면 해당 개체는 씨돼지로 선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농진청 연구진은 지방산 조성과 연관된 유전자를 찾기 위해 전장유전체분석(GWAS)을 실시했고, 16번 염색체에서 장쇄지방산 생합성에 관여하는 ELOVL7 유전자를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ELOVL7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, 단일염기다형성(SNP)이 3가지의 유전자형 T/T, T/C, C/C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유전자 분자표지는 '돼지고기 내 포화지방산 함량 예측용'으로 특허출원을 마쳤으며, 현재 농가 현장 적용을 위한 기술 이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농가에서는 지방산 조성이 알맞은 개체를 씨돼지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려 돼지고기 지방 식감에 대한 개량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22111431673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